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뉴스 포커스] ‘강남 스타일’에서 김밥까지

싸이가 부른 ‘강남 스타일’의 위력은 대단했다. 미국 전체가 난리였다. 인기 절정일 때는 하루에 한두 번은 노래를 들을 수 있었던 같다. 미국 라디오 음악 방송에서 한국 노래를 듣는 신기한 경험도 했다. ‘강남 스타일 열풍’ 소식을 전하던 뉴스 앵커가 노래를 흥얼거릴 정도였다. 미국에서 ‘K팝’이라는 단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강남 스타일’ 상륙 이후가 아닐까 싶다.     그렇게 10여년의 세월이 지나 이제 ‘K’라는 이니셜은 ‘한국 것’의 상징이 됐다. K팝을 넘어 다양한 종류로 분화가 이뤄지고 있다. 요즘엔 K푸드, K뷰티, K드라마, K무비, K패션 등 수 많은 분야가 K라는 이니셜로 소개된다. 이유는 간단하다. 마케팅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한국 것’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진 덕이다. 이미지도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좋아졌다. 흔한 골목길 분식 메뉴인 김밥도 화제가 될 정도다. 이젠 어딜 가도 어렵지 않게 ‘한국 제품’을 찾을 수 있다.     문화 콘텐트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소재들이 영문으로 소개되고 한류 스타 관련 뉴스는 거의 실시간 전달된다.       ‘한국 것’을 즐기는 층도 다양해진다. 젊은 층 중심에서 이제는 그들의 부모 세대로까지 확산하고 있다. 필자의 최근 경험도 이런 트렌드를 반영하는 듯하다. LA한인타운 식당에서 식사를 마치고 주차장에서 발레파킹했던 차를 기다리고 있을 때였다. 10대 후반쯤으로 보이는 여학생이 다가오더니 ‘한국 사람’이냐고 물었다. 그렇다고 했더니 반가운 표정을 지으며 자기 엄마가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옆에 있던 여성을 가리켰다. 얼떨결에 “안녕하세요”라고 인사를 건넸더니 “안녕하세요”라는 한국어 답이 돌아왔다. 10대 여학생이 한국어를 배운다고 했으면 그러려니 했을 텐데 중년 여성이 한국어를 배운다니 호기심이 생겼다. “왜 배우느냐”고 물었더니 K드라마 팬이란다. 이것저것 물어보고 싶었지만 그녀 차가 먼저 오는 바람에 짧은 인터뷰를 마쳐야 했다.  ‘K의 인기’를 실감하는 순간이었다.     경제적 발전과 문화 콘텐트의 영향력 확대는 자긍심으로 이어진다. 이제 한국에서 ‘문화 사대주의’ 운운하는 사람은 없다. 그런데 자긍심이 지나쳐 소위 ‘국뽕’의 단계까지 가는 경우를 종종 본다. ‘한국 것’이 최고라는 생각에 별것 아닌 일에도 엄청난 의미를 부여하는 게 그런 예다. 맹목적 믿음은 이성을 마비시킨다. 현실을 정확하게 바라보고 판단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미국 시장은 세계에서 경쟁이 가장 치열한 곳이다. 워낙 다양하고 우수한 선수들이 뛰는 곳이다 보니 순식간에 판도가 바뀌곤 한다. 반면에 고객의 충성도 역시 높다. 한 번 마음에 들면 웬만해선 다른 것으로 바꾸지 않는다.     그렇다면 일상생활에서 가장 자주 접하는 ‘K푸드’의 현주소를 확인해 보자. K푸드의 인기가 많이 높아졌지만 아직은 다른 유명 아시아 음식에 뒤진다. 중국,일본,베트남,태국 등 아시아계 음식의 선두 주자들이 먼저 미국 시장 개척에 나섰기 때문이다. 단순히 식당 숫자로만 봐도 한식당은 아직 열세다. 경제정보 전문 업체인  렌텍 디지털의 자료에 따르면 미 전국에 중국 식당은 3만5000여개나 된다. 이어 1만8000여개인 일식당이 두 번째로 많다. 이어 1만500여개인 태국 식당, 6500여개의 베트남 식당이 뒤를 잇고 있다. 반면 한식당은 5200여개로 집계됐다.   ‘K의 인기’가 지속하려면 생명력이 필요하다. 분화만 해서는 생존 기간이 짧아질 우려가 있다. 누군가 내게 “‘K’를 관통하는 의미가 무엇이냐?”고 물으면 대답이 궁해지는 이유도 여기에 있는 게 아닐까 싶다. 우둔한 탓인지 몰라도 ‘한국 것임을 의미한다’는 답 정도가 고작일 듯하다. 분명 현상은 있는데 그 이유를 설명하지 못하는 답답함이라니.  김동필 / 논설 실장뉴스 포커스 스타일 강남 강남 스타일 한국 노래 한국 제품

2024-05-30

[독자 마당] 울면서 치는 기타

2023년 계묘년 이라고 해서 토끼해다. 토끼는 활동성이 뛰어나고 번식력도 강하다고 한다. 나는 토끼해에 태어난 토끼띠다. 한 갑자는 12년으로 옛날에는 60년, 즉 다섯 갑자를 살면 장수한다고 했다. 그러나 지금은 웬만한 사람이면 일곱갑자는 너끈히 산다.     장수의 비결은 무엇일까? 몸과 정신이 건강한 것이다. 나는 나이가 든 지금도 매일 기타를 치고 있다. 이런 취미 생활 덕에 건강을 유지하는 것 아닌지 생각해 보기도 한다.     나는 50세 때 LA시티 칼리지에서 기타를 배웠다. 수업을 마치고 나오는데 어디서 띵까띵까 소리가 났다. 그 강의실을 들여다보니 많은 학생이 선생님의 지도로 기타를 치고 있었다. 모두 나보다 젊은 학생들이었다. 선생님에게 나도 기타를 배울 수 있느냐고 물었더니 선생님은 기타를 보여주면서 이것이 무엇이냐고 되물었다. 나는 얼른 기타라고 대답했다. 선생님은 내가 기타를 기타라고 알아보는 한 기타를 배울 수 있다고 말했다.   기타를 칠 때는 악보와 가사에 온 신경을 집중하느라 다른 생각은 아무것도 안 난다. 또 노래도 함께 부르기 때문에 목이나 폐 건강에도 좋은 것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과거에는 ‘언체인 멜로디’, ‘해 뜨는 집’ 같은 팝송을 많이 연주했다. 지금은 나이 들어서인지 트로트, 소위 말하는 뽕짝 노래를 자주 연주한다.     한국 노래에는 좋은 가사들이 많아 심금을 울린다. 그중 하나가 ‘꽃반지 끼고’라는 노래다. 꽃반지를 품에 안을 수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노래에는 ‘외로운 밤이면 그대가 만들어 준 꽃반지를 품에 안고 잔다’는 대목이 있다. 그러면 노래 부르면서 가슴속으로 눈물이 흐른다. 한참 그리고 나면 가슴 속이 맑고 시원해진다. 울면서 퉁기는 나의 기타여! 서효원·LA독자 마당 한국 노래 뽕짝 노래 la시티 칼리지

2023-01-2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